노트북으로 핫스팟켜기 알아볼까요!
데이터의 홍수시대
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사용하시는 분이 아니라면
대부분 자연스레 WIFI 를 찾게 되는데요.
노트북을 이용해서
노트북AP를 사용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준비물 : 노트북(WIFI기능이 있어야겠죵?), 랜(LAN)선 그리고 설레는 마음
Step1. 노트북이 무선 공유기(핫으팟)로 사용가능한지 확인.
우선 내 노트북이 무선 공유기로 사용할수있는지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.
▶ (관리자권한) 명령프롬프트 실행
윈도우키 - 모든프로그램 - 보조프로그램 - 명령프롬프트(우클릭) - 관리자권한으로 실행
▶ 다음 명령어 입력
> netsh wlan show drivers
<무선 랜카드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>
▶ "호스트된 네트워크 지원 : 예" 표시되는지 확인
Step2. 무선공유기 설정하기(무선 AP, 핫스팟)
호스트된 네트워크 지원이 되는것을 확인 했으니
이제 무선 공유기 설정을 합니다.
▶ 명령프롬프트 창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.
> netsh wlan set hostednetwork mode=allow "ssid=wifi이름" "key=비밀번호"
"ssid" : Wi-Fi검색시 보여지는 이름
"key" = Wi-Fi 접속시 입력하는 비밀번호(8자리이상)
(ex. 저의 id는 4unforme / 비밀번호는 12345678 입니다.)
(이런 비밀번호는 사용하시면 안되는거 아시죠?ㅎㅎ)
Step3. 호스트된 네트워크 시작하기
이제 네트워크를 실행합니다.
▶ 명령프롬프트 창에 아래 명령어 입력.
> 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
이제 설정한 아이디 와이파이가 작동 하게 되었습니다.
하지만 아마 정상적으로 통신이 안될텐데요
[실제 통신선]과 [내가 방사한 WIFI]간에 연결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.
Step4. 어댑터 설정 변경(네트워크 및 공유센터)
제어판 -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- 어댑터 설정변경 을 눌러보면
'무선 네트워크연결 2' "4unforme"가 새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.
(무선 네트워크연결2,3,4 등 이름은다를수 있습니다. 신경쓰지 마세요)
▶ 로컬 영역 연결(유선랜 네트워크) 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
▶ 공유 탭 -> 인터넷 연결공유 체크
'홈 네트워킹 연결' 에서 - 새로 생성된 '무선 네트워크연결 2' 선택
이제 네트워크 항목에 '공유됨' 이라는 문구가 뜨고
정상적으로 설정이 완료 됩니다. ^0^
걱정없이 인터넷을 즐겨봐요~!!!
'IT >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보안 / 취약점] 취약점 정보는 어디서 얻을까(취약점 출처) (0) | 2016.12.29 |
---|---|
[Android/APK]안드로이드 모바일에서 APK 파일 추출하기. (0) | 2016.07.20 |